MARC보기
LDR01667nam ac200433 k 4500
001000000543058
00520140201204809
007ta
008050426s2002 ulk 000a kor
020 ▼a 1599633608: ▼c \10000
035 ▼a KRIC08966341
040 ▼a 221024 ▼d 224010 ▼c 224010
08204 ▼a 905 ▼2 20
090 ▼a 905 ▼b 트232ㅌㅂ
0931 ▼a 840266 ▼v v.1 ▼x P
1001 ▼a 트랜스토리아 편집부.
24510 ▼a 트랜스토리아= ▼x Transtoria. ▼n 제1호./ ▼d 트랜스토리아 편집부 [편].
260 ▼a 서울: ▼b 박종철출판사, ▼c 2002.
300 ▼a 185p.; ▼c 25cm.
5050 ▼a 서발턴에게 역사는 있는가?/김택현. - 포스트식민 비판으로서의 서발턴 연구/갼 쁘라까쉬. - 맑스주의 이후의 맑스/디뻬쉬 짜끄라바르띠. - 잡종성과 서발턴적 주체 행위/로버트 영. - 포스트식민 연구의 모호한 의식/마이클 하트. - 1968년 혁명과 미국의 초기 민권 운동/안효상. - '실재', 그 숭고한 이름/이찬행. - 새로운 주체와 공동체를 위한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모색/유제분. - 방앗간 주인과 역사가/장문석
7001 ▼a 김택현
7001 ▼a 쁘라까쉬, 갼
7001 ▼a 짜끄라바르띠, 디뻬쉬
7001 ▼a 영, 로버트
7001 ▼a 하트, 마이클
7001 ▼a 안효상
7001 ▼a 이찬행
7001 ▼a 유제분
7001 ▼a 장문석
740 ▼a 서발턴에게 역사는 있는가?
740 ▼a 포스트식민 비판으로서의 서발턴 연구
740 ▼a 맑스주의 이후의 맑스
740 ▼a 잡종성과 서발턴적 주체 행위
740 ▼a 포스트식민 연구의 모호한 의식
740 ▼a 1968년 혁명과 미국의 초기 민권 운동
740 ▼a '실재', 그 숭고한 이름
740 ▼a 새로운 주체와 공동체를 위한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모색
740 ▼a 방앗간 주인과 역사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