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ARC보기
LDR02745nam ac200457 c 4500
001000013204517
00520140202000349
007ta
008050624s2005 ulk AL 001a kor
020 ▼a 897986616X: ▼c \19,000
040 ▼a 211040 ▼c 211040 ▼d 211040 ▼d 224010 ▼d 246009
08204 ▼a 320.54095 ▼2 20
090 ▼a 320.54095 ▼b 성17ㄷㅅ
0931 ▼a 874030 ▼a 874031 ▼c c.2 ▼a 924662 ▼c c.3 ▼a 924663 ▼c c.4 ▼a 924664 ▼c c.5 ▼a 50011405 ▼c c.6 ▼a 50011406 ▼c c.7
110 ▼a 성균관대학교. ▼b 동아시아 유교문화권 교육│연구단
24510 ▼a 동아시아 민족주의의 장벽을 넘어서: ▼b 갈등의 시대로부터 화해의 시대로/ ▼d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유교문화권 교육│연구단 편; ▼e 임형택; ▼e 김재관 책임편집.
260 ▼a 서울: ▼b 성균관대학교, ▼c 2005.
300 ▼a 487 p.; ▼c 23 cm.
500 ▼a 색인 : p.465-482
500 ▼a 공집필자: 김영하, 서중석, 김한규, 박진우, 한기형, 류준필, 이연숙, 김성주, 김재철, 한상일, 박인휘, 김성기, 김문준, 김인규, 양한칭.
5050 ▼a 한말│일제시기의 신라│발해인식 / 김영하 -- 민족주의사학의 논쟁 / 서중석 -- 역사상의 '중국'과 '중국사'의 범주 / 김한규 -- 전후 일본의 역사인식과 상징천황제 / 박진우 -- 한국문학 연구의 동아시아적 시각과 세계적 지평 / 임형택 -- 동아시아 담론과 민족주의 / 한기형 -- 중국 전통 문文 관념의 근대적 대응과 변용 / 류준필 -- 디아스포라와 국문학 / 이연숙 -- 동북아질서와 한반도 평화체제 / 김성주 -- 세계화와 국가주권: 공존을 행한 중국의 탐색 / 김재철 -- 일본과 동아공동체 담론 / 한상일 -- 동북아 국제정치의 역사와 정형화 / 박인휘 -- 통일 이후 민족동질성 회복과 유교의 역할 / 김성기 -- 춘추사상의 국제평화정신과 민족국가의 자주정신 / 김문준 -- 조선 후기 화이론의 변용과 사상사적 의의 / 김인규 -- 유학과 현대 동아시아의 가치관 / 양한칭.
7001 ▼a 임형택
7001 ▼a 김재관
70012 ▼a 김영하. ▼t 한말│일제시기의 신라│발해인식
70012 ▼a 서중석. ▼t 민족주의사학의 논쟁
70012 ▼a 김한규. ▼t 역사상의 '중국'과 '중국사'의 범주
70012 ▼a 박진우. ▼t 전후 일본의 역사인식과 상징천황제
70012 ▼a 임형택. ▼t 한국문학 연구의 동아시아적 시각과 세계적 지평
70012 ▼a 한기형. ▼t 동아시아 담론과 민족주의
70012 ▼a 류준필. ▼t 중국 전통 문문 관념의 근대적 대응과 변용
70012 ▼a 이연숙. ▼t 디아스포라와 국문학
70012 ▼a 김성주. ▼t 동북아질서와 한반도 평화체제
70012 ▼a 김재철. ▼t 세계화와 국가주권: 공존을 행한 중국의 탐색
70012 ▼a 한상일. ▼t 일본과 동아공동체 담론
70012 ▼a 박인휘. ▼t 동북아 국제정치의 역사와 정형화
70012 ▼a 김성기. ▼t 통일 이후 민족동질성 회복과 유교의 역할
70012 ▼a 김문준. ▼t 춘추사상의 국제평화정신과 민족국가의 자주정신
70012 ▼a 김인규. ▼t 조선 후기 화이론의 변용과 사상사적 의의
70012 ▼a 양한칭. ▼t 유학과 현대 동아시아의 가치관
9500 ▼b \19,000